작품 ’82년생 김지영’ 시사점

Share

논란의 주인공 ’82년생 김지영’

2016년에 발간되어 베스트셀러로 이름을 떨치며, 무려 100만 부 이상의 판매를 달성할 정도로 많은 이슈를 낳았던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원작으로 둔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개봉하였습니다. 영화의 제작부터 캐스팅, 촬영 소식은 물론 런칭 소식까지 이슈를 나은 이 영화는 많은 논쟁이 되었고 그러한 부분이 노이즈 마케팅되어 생각보다 많은 관람객을 불러 모았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에 태어나 2019년 오늘날 어려운 취업 환경 속에서 취업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김지영'(정유미)의 아무도 몰랐던 내용을 그린 작품입니다.

’82년생 김지영’은 개봉하기 전, 많은 사람들이 여러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그 세대를 살아간 여자이라면, 충분히 그러한 시대의 환경을 받아들이고 살아간 세대 아닌가?” 라는 의견이 상당수 였습니다. 혹시라도 젠더 이슈를 건드릴 만큼 예민한 내용을 쉽사리 입박으로 언급하는 영화관객도 논란의 여지를 인지해서인지 의견을 조심하는 눈치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1982년에 태어난 주인공 ‘김지영’을 중심으로 그녀의 어머니를 비롯한 많은 여자들의 내용을 그려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82년생 김지영’ 줄거리

’82년생 김지영’은 하다못해 스쳐 지나간 그녀의 고모들, 옛 직장동료, 시어머니까지 서로 다른 세대를 살아오고 다른 시선으로 살아간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여기에 “지금은 세월이 바뀌어서 말도 편히 못한다”라고 말하는 ‘대현'(공유)의 근로 동료나 “우리끼리 말한 건데 왜 발끈하냐”라고 말하는 등 일부 우둔한 사람들의 시선까지 담아내고 있습니다. ‘지영’의 상황이나 마음을 들여다볼 생각조차 하지 않는 그러한 인물이 남자 성인이라는 점에서 아쉬운 것은 맞지만, 이 영화는 젠더 갈등을 유발하기보다 그저 여자으로서 삶을 살아간 할머니, 어머니, 그리고 자신에 대한 스토리를 보여주는 영화라는 의견도 다수 있습니다.

’82년생 김지영’이 완벽하게 좋은 영화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소설을 정확한 비교를 객관화 하여 평가를 하기에는 난해한 부분이 있듯이, 공원에 나와 아이와 산책하며 모처럼 커피 한 잔을 마시는 ‘지영’을 보고 여느 여성들이 “나도 시집가서 남편이 벌어다 주는 돈으로 커피나 즐기고 싶다”라고 말하는 남자 성인, 카페에서 “아이 데리고 나와서 피해만 끼치는 맘충”이라고 대화하는 무리(남자 둘, 여자 하나) 등은 조금 민감한 소재의 논란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를 두고 남성과 여자 성인의 입장에 대한 의견이 갈리고 있으며, 당연한 일상을 논하는 자와 더는 당연한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생각이 대립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엄마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지영’의 상황을 모두가 완전히 공감하진 못하겠지만, 아이이자 학생이었던, 그리고 사회 초년생인 ‘지영’의 스토리들은 일부 공감할 수도 있습니다. “여자는 그저 조신하게 처신해야 해”라는 말부터 손자를 더 위하는 할머니의 행동, 그리고 누군가가 쫓아와 두려워하는 상황에도 걱정해주는 말로 던지는 “교복 치마는 왜 그렇게 짧게 하고 다녀?”, “여자애가 일찍 일찍 다녀야지” 등의 말들을 대부분의 여자 성인들이 들어 봤을 것입니다. 또한 어린 시절에 볼 수 있었던 할머니 댁에서의 분위기까지 연출하고 있으므로 일부 다양한 이들이 공감될 수 있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영화의 캐스팅 소식부터 좋지 않은 말들을 들어야 했던 배우들은 생각 이상으로 역활을을 잘 표현해냈습니다. 예고편에서부터 의문점을 남겼던 ‘지영’의 정상적이지 않은 행동은 정유미의 멋진 연기로 완성되었으며, 공유 또한 ‘대현’이라는 인물을 통해 영화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연기하였습니다. 벌써 세 번째 호흡을 맞춘 두 사람은 이번에 처음으로 부부 역활로 호흡을 맞추었는데, 각자 서로에게 필요한, 더불어 이야기에 중요한 인물을 잘 표현하였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엄마 ‘미숙’으로 출연한 김미경을 비롯하여 ‘김팀장’ 박성연, 언니 ‘은영’ 공민정과 동생 ‘지석’ 김성철까지 다들 엄청난 열연을 보였다는 평이 대다수입니다.

You may also like...